분류 전체보기32 [ERROR] [MY-011087] [Server] Different lower_case_table_names settings for server ('1') and data dictionary ('0'). [문제상황] 도커 MySQL컨테이너를 생성하면 디폴트로 대소문자를 구분하게 되어있다 대소문자 구분을 하지 않게 하려고 MySQL컨테이너 내의 /etc/mysql/my.cnf 파일에 lower_case_table_names=1 이 코드를 추가하고 컨테이너 restart를 했더니 컨테이너가 종료됨;; 재시작 시키려고해도 이렇게 요지부동.... 로그를 확인해보려고 docker logs 를 입력했더니 이러한 에러로그가 찍혀있다 [ERROR] [MY-011087] [Server] Different lower_case_table_names settings for server ('1') and data dictionary ('0'). [문제원인] 내공부족으로 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으나...ㅠㅠ 참고 글은 [mysqld.. 2021. 7. 29. 도커를 사용해서 MYSQL설치하고 접속하기 [학습목표] 💡 Docker를 이용해서 MySQL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 Workbench와 Bash를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한다. [개발환경] ubuntu 20.04 1. MySQL 도커 컨테이너 생성하기 # 1. mysql 이미지 불러오기 sudo docker pull mysql # 2. 도커 이미지 확인 sudo docker images # 3. 도커 컨테이너 생성 sudo docker run -d -p 3305:3306 -e MYSQL_ROOT_PASSWORD=1234 --restart=unless-stopped -v /home/ubuntu/db:/var/lib/mysql --name test_mysql mysql -d : detached모드로 컨테이너 실행,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 2021. 7. 28.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프로젝트 팁 💡 기업별 선호하는 인재상? 어떤 기술스택을 쌓으면 좋을까? 🧐프로젝트를 하는 주니어 개발자의 궁금증은 다 모았다!🤓 본 문서는 멀티캠퍼스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MSA과정의 2차멘토링 Q&A를 재구성한 글입니다. [에자일 방법론 적용] 🐥 : 에자일 방법론을 적용중입니다. 올바른 방향인지 모르겠어요ㅠㅠ 에자일 방법론 사용시 방법론에 치여 시간을 많이 잡아먹지 않도록 주의해라. 방법론을 적용 했냐 안했냐 보다는 해당 방법론이 프로젝트 팀에 얼마나 맞느냐가 중요하다. 면접에서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았다, 이런식으로 개발방법론을 잡아보았다, 이런생각을 가지고 프로젝트에 임했다라고 말할수있다는 점에서는 플러스요소 개발방법론에 맞춰 플젝 진행을 하다가 어려웠던점 혹은 불편하거나 좋았던 점 등 노.. 2021. 7. 28. 학생 개발자의 프로젝트 개발기 2편 | 와이어프레임, 기능 명세서 작성하기 3. 플로우 차트 + 와이어프레임 작성 그렇게 주제와 기능을 구체화 했지만 '팀원들이 생각하는 서비스 = 내가 생각하는 서비스' 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와이어프레임을 작성해야 했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했다 예를들어 커뮤니티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 로그인 후에 이용하기 - 비회원으로 이용하다가 댓글을 작성할 때 로그인하기 이런식으로 서비스를 다양한 순서로 활용할 수 있는데 와이어 프레임에는 순서가 나타나있지 않으니 '내가 생각하고있는게 너가 생각하는거랑 같아?'라는 검증을 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플로우 차트를 작성하기로 했는데 해결책이 되진 못했다. 다들 플로우 차트 작성이 서툴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화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페이지들을 모두 표시하다보니 위의 사진과 같이 같은 페이지를 중.. 2021. 7. 27. 학생 개발자의 프로젝트 개발기 1편 | 주제 선정, 아이디어 구체화 0. 들어가며 싸피 2학기가 시작되었다. 팀원들과 공통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겪는 시행착오와 해결책들을 기록해보고자 한다.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려는 다른 예비개발자, 주니어 개발자들에게 이 글이 도움되었으면 한다. 1. 주제 선정하기 팀 노션에 아이디어 페이지를 따로 만들어서 각자 아이디어(+레퍼런스)를 적어도 5개 이상 생각해오기로 했다. 그 결과 총 32개의 아이디어가 나왔다. 각자 생각했던 아이디어 설명을 하고 2번의 투표를 통해 최종 아이디어가 선정됐다. 2. 아이디어 구체화하기 구글미트 + 노션을 활용해서 브레인 스토밍을 진행했다. 각자 있으면 좋을 것 같은 기능들을 말하고 관련 자료를 정리했다. 어느정도 아이디어가 나온 후에는 어떤 기능을 넣을지 나열해보고 타겟 사용자의 니즈, 서비스의 컨셉, 현.. 2021. 7. 27. 이전 1 2 3 4 5 6 7 다음